본문 바로가기

귀농교육25

여름철 집중호우·태풍 대비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안전관리 요령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안전관리 요령  여름철 집중호우와 강풍으로 인한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철저히 관리하고, 인명 피해와 각종 안전사고 예방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벼 사전대비배수로와 배수구 연결, 물꼬높이 조절 등 정비배수로 잡초제거 및 물길정비로 원활한 물 빠짐 유도사후조치침ㆍ관수된 논은 잎 끝만이라도 물 위로 나올 수 있도록 서둘러 물을 빼고, 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과 오물 제거물이 빠진 후에는 새로운 물로 걸러 대어 뿌리의 활력 촉진침ㆍ관수 된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 예방을 위해 약제 살포침·관수 벼 흙앙금 및 오물세척 효과 (감수율)침수: 식물체(농작물)의 일부가 물에 잠기는 상태관수: 식물체(농작물)의 전체가 물에 잠기는 상태밭작물 사전.. 2024. 7. 18.
[귀농귀촌] 귀농 준비 - 영농 교육 및 영농 자료 영농 교육 가. 귀농귀촌 종합 포털 대한민국 귀농귀촌 대표 포털 그린대로 귀농 귀촌을 준비에서 정착까지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나를 위한 내손안의 귀농귀촌 온라인 비서 ‘그린대로’입니다. www.greendaero.go.kr 나. 농업교육포털 농업교육포털 농업교육포털 agriedu.net 다. 농업인적자원개발센터 농촌진흥청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는 본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로서, 동의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 hrd.rda.go.kr 라.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www.haccp.or.kr 영농 자료 가. 농사로 농사로 : 농촌진흥청 농업기술포털 농장.. 2024. 1. 10.
[작목선택] 고추 - 국내외 생산현황 [작목선택] 고추 고추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식 채소로 전체 채소 중 가장 많은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차지한다. 한때 13만여ha까 지 재배되어 전체 채소 재배면적의 35%까지 차지했던 적이 있었다. 최근 지속적으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지만, 고추는 아직도 중요한 농가의 소득 작물이다. 고추의 원산지는 열대 아메리카(미국 남부부터 아 르헨티나 사이에 분포)로, 고온성 작물에 속한다.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 (1592∼1598년) 이전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국내 생산 현황 최근 고추는 다양한 기능과 함께 소비,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조미료 로 쓰이는 건고추와 생식용으로 쓰이는 풋고추로 나누어져 주로 건고추의 이용 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건고추는.. 2020. 7. 20.
[작목선택] 애호박 [작목선택] 애호박 ▶ 애호박의 유래 ■ 인류가 호박을 이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약 9,000년 전으로 추정된다. 호박은 원산지인 멕시코 고대문화를 지탱하여 온 중요한 작물로 유적들 근처에서 발견되고 있다. 호박의 재배도 기원전 5,000년경부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어 매우 오랜 재배역사를 지니고 있다. ■ 1492년 콜럼버스의 미대륙 발견 이후 호박은 여러 경로를 통해 전 세계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호박은 생장속도가 빠르고 재배가 쉬워 인기리에 보급되었는데 16세기 유럽과 중국의 기록들에는 몇 종류의 다른 호박품종이 기술되고 있다. ■ 일본에는 포르투갈 상선 편으로 1553~1554년에 전파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중국에도 이 시기를 전후하여 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는 주로 모샤타종이 전래된 것으.. 2020. 7. 15.
[귀농귀촌]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LS) 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PLS) 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는 농산물 중 농약 잔 류 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농약성분에 대해서는 허용기준을 일률적으로 0.01ppm 적용하는 제도로서 2016년 12월 31일부터 견과 종실류 및 열 대 과일류에 대해 우선 시행하였고, 2019년 1월 1일부터 전체 농산물로 확 대 시행하고 있다. 핵심 내용은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대폭 강화하는 것으로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인들은 농약을 사용할 때 살포하고자 하 는 작물에 농약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하고 등록된 농약만을 사 용해야 한다. 식품의 잔류농약 안전성이 한층 강화되면 국내 농산물의 안전 성에 대한 신뢰가 증진될 것이고, 이는 우리 농산물의 소비 활성화에.. 2020. 7. 14.
[PLS제도] 농약 잔류성 영향 [PLS제도] 농약 잔류성 영향 농약은 병해충·잡초와 같이 농업에 해를 미치는 생물을 살멸시키는 약제 로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독성을 갖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농약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약효의 지속성은 물론 병해충·잡초에 대한 다양한 효과가 이상 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산물 소비자, 토양, 물, 대기 환경, 그 환 경을 생활터전으로 삼고 있는 생물의 입장에서는 잔류기간이 짧고 특정 대 상만을 제어하는 농약이 바람직할 것이다. 농업인의 입장에서도 잔류농약 에 의한 후작물잔류 우려 등 근래의 환경친화적 농업방식의 대중화로 그런 바람은 폭을 넓혀 가고 있다. ◆ 작물 잔류 농약의 작물잔류는 작물체 내에 침투한 농약뿐만 아니라 작물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까지 포함하며 농약의 이화학성,.. 2020.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