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

농업경영·마케팅

by Slowlife37 2023. 12. 14.
반응형

농업경영· 마케팅

1. 농업경영의 의의 사회생활을 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는 용어 중의 하나가 경제(經濟, Economy)와 경영 (經營, Management)이라는 용어일 것이다. 경제란 사전적 의미로는 재화(상품)와 용역 (서비스)을 생산・분배・소비하는 활동 및 그와 직접 관련되는 질서(규칙)와 행위를 말한다. 즉, 생산 주체인 기업(또는 경영체), 소비 주체인 가계, 그리고 재정지출을 담당하 는 정부의 3주체가 동일한 행동 양식을 취한다는 전제조건 하에서 가격이라는 매개 체를 통해 서로 간의 행위와 질서가 균형을 이루어가는 것을 일반적으로 경제라고 말 한다. 따라서 경제가 불안하다고 말하는 것은 가격 기능에 의하여 3주체 간의 행위와 질서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가 불안하다는 것을 뜻한다. 경영(經營, Management)은 사전적 의미로는 계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일정한 시 설을 기초로 재화(상품) 또는 용역(서비스)을 경제적 급부(대가)를 통하여 생산하는 기업(또는 경영체)의 일반적인 운영에 관한 동적 활동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경영은 경제와는 달리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경영체)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 며, 동일한 행동양식을 전제로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경영은 경제에서 대상으로 하 는 가격 기능에 의한 균형 상태를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시키고자 하는 혁신활동 기능 을 수행하고 있다. 왜냐하면 균형 상태에서는 모든 기업(경영체)의 활동 여하에 관계 없이 이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혁신이 경영활동에서 많이 대두되고, 또한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도 이 러한 논리적인 출발점에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우리가 대상으로 하는 농업 경영(農業經營, Farm Management)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농업경영은 간단하게 말하면 농가(또는 농업경영체)가 농산물을 생산하고 판매 하는 활동과 관련하여 수없이 발생하는 선택의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 하고,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은 일반적으로 경영관리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경영관리 과정은 계획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고, 실행한 결과에 대하여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일반적으 로 경영관리 사이클(Management Cycle)이라고 말하며, 가장 기본적인 구조로 계획 (Plan)-실행(Do)-평가(See)의 과정을 이루고, 이 순서로 순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기 본구조에서 실행 부분을 좀 더 세분화하여 조직 문제와 지휘 문제로 나누기도 하며, 동기부여 및 조정기능을 추가하여 다단계화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영관리 활동을 단순 반복적인 활동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비 판적인 분석・평가를 통하여 경영계획을 수정하고, 실행과정 또한 개선해 새로운 의 사결정과정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처럼 초기의 경영관리 과정에서 이루어졌던 의사 결정 내용들은 새로운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이 바로 앞에서 말한 일종의 혁신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농업경영을 대상으로 경영관리 사이클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그림 1-2>이다.

 

계획 부문에는 농산물의 생산량 등과 관련된 생산계획, 비용분석을 통하여 도출 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비용(원가) 및 이익계획, 고정자본재1)의 도입 및 이를 위한 차 입자본2) 등과 관련된 재무계획이 포함된다. 계획에 근거한 실행과정이 이루어지고, 실행과정에서 투입되는 투입물에 대한 물적기록표 및 비용 및 수익 발생에 대한 자금 의 흐름을 기록하는 부기3)에 근거하여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진다. 경영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분석 및 평가는 경영자의 기록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농업경 영에 있어서 경영기록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경영관리 활동이 필요한 이유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농산물의 생산 및 판매 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선택의 문제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대응하 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선택의 문제는 경영체를 둘러싼 내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최근의 경영 내외부 환경 변화 중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문제는 국 가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농업의 비중 감소, 농가의 소득 감소, 그리고 소비자의 소 비 다양화 경향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전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농업의 비중을 국내총생산(GDP)4)을 통해 살펴보면, 1980년 국내총생산은 40조 원에서 2020년에 는 1,940조 원으로 48.5배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농림어업분야 생산액은 5.7조 원 에서 34조 원으로 6.0배 증가해 상대적으로 소폭 상승하였다. 이 중에서 농업 부문은 1960년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9.3% 수준이었으나, 1986년에는 8.8%를 기록하며 한 자리 숫자로 감소한 이후 지속적인 감소 경향을 보이며 2021년 기준으 로 2%까지 감소하였다. 농가소득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2010년대부터 증가율은 정체되고 있다. <표 1-1>의 농가소득 변화를 보면, 1990년부터 2000년까지는 연평균 20.9%씩 성장 하였으나, 2010년부터 2020년까지는 연평균 14.0%씩 성장하였다. 성장이 정체하 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농업소득의 성장률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농업소득은 1990년에서 2000년까지는 연평균 17.4% 증가하였으나 2010년부터 2020년까지는 연평균 11.7%씩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전소득은 2020년에 14백만 원으로 농가소득 의 31.7%를 차지하고 있으며, 공익형 직불금 제도의 도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표 1-2>는 농가소득과 도시근로자 가구소득을 비교한 것이다. 1990년에는 농 가소득이 도시근로자소득의 97.2%로 비슷하였으나, 점차 하락하여 2021년에는 64.1%까지 하락하였다. 농가와 도시근로자 가구 간의 소득 격차는 농촌의 인구가 도 시로 이농하는 이유를 잘 대변하고 있다.

농업총수입은 증가하고 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농업경영비가 크게 증가하여 농업소득은 정체하고 있다. <표 1-3>을 보면 농업총수입 중에서 경영비를 제외한 농 업소득이 차지하는 농업소득률은 점차 하락하여 1990년 69.0%에서 2021년 34.9% 까지 하락하였다. 농업소득률의 하락은 농가가 재투자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농업 소득률 하락의 악순환이 될 수 있다. 농업소득이 장기적으로 감소하는 이유는 1990 년대 중반 이후 농산물 수입 자유화와 시설농업 확대, 기계화 진전 등 자본투자의 증 가로 농업경영비 상승하였기 때문이다(오내원 등, 2013).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