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

[PLS제도] 농사에서 농약의 역할

by Slowlife37 2020. 7. 9.
반응형

[PLS제도] 농사에서 농약의 역할

 

 

농업생산성의 양적 증대와 안정적 생산 및 공급은 생산자인 농민이나 소비자에게 다 같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최근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식량이 국가 안보에 직결되고 있는 현실에서 식량자원의 안정적 확보 문제와 경제 성장으로 인한 소비자의 소비 개념이 질적으로 우수한 농산물 을 요구하고 있어서 농약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촌 노동력의 확보나 농산물의 수급 균형 등과 같은 사회적 여건이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또 태풍, 병해충 등과 같은 농업생산에 불리한 환경조건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않으면 안 된다. 병해충·잡초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해 농업 생산물의 양적 증대와 함께 품 질을 향상시키고 농작업을 생력화 시키는 농약은 현대 농업에 있어 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농업자재로서, 농약 없이는 농업경영이 불가능하 게 되었다.

과거에는 병해충 등으로 인해 재배가 불가능하였거나 수량 감소가 심하 였던 다수성 품종을 재배할 수 있게 된 것 또한 새로운 우수한 농약의 개발 과 보급에 의한 것이다. 또한 병해충의 발생으로 다수확을 위한 다비재배나 농작물 재배시기의 조절 등이 불가능하였으나 농약을 사용함 으로써 이러한 재배방법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듯 농약이 농업생산에 크 게 공헌하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제초제가 개발되어 보급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제초작업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직파재배와 같은 새로운 재배기술의 도입도 가능하게 되었다. 우수한 종자소독제의 개발은 작물재 배기술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부패하기 쉬운 농산물의 국가 간 교역도 수확 후 처리제(Post-harvest Pesticide) 등이 개발됨으로써 가능하 게 되었다. 우리 모두가 계절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싱싱한 농산물을 식탁 에서 대할 수 있는 것도 우수하고 안전한 농약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가능하 다고 할 수 있다.

농약 사용이 농업생산량 증대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1993년부터 1997년 까지 5년간 실시한 농촌진흥청의 조사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벼농사에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면 병해충에 의한 수 량감소는 전체적으로 12.9%나 된다.

이 경우 농약 사용으로 병해충을 97.4% 방제함으로써 병해충에 의한 감수율을 10.3%까지 경감시킬 수 있어 연간 쌀 생산량 5,088천 톤 중 525천 톤은 농약 사용에 의한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이 것을 금액으로 계산하면 약 6,382억 원으로 연간 소요 농약값(1,745억 원)을 제하더라도 4,637억 원의 소득을 추가로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미국에서 조사·보고된 바에 의하면 현재의 작물재배체계에서 농약 사용을 중단한다면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당해 연도에는 24~37%, 3년째 에는 45~67%의 감수가 예상된다고 한다.

독일에서는 사과 재배 시 관리를 철저하게 하였다 하더라도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면 감수율은 40%나 되며 동시에 품질이 저하되어 상품으로서의 불합격률이 80%에 달하였다는 보고도 있었다. 이러한 통계수치의 정확도가 어느 정도이든 간에 농약 사용이 경제적으 로 높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앞으로도 농약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 써 병해충·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고 농업생산성을 더욱 높여 급격히 증 가하는 인구의 식량문제 해결에 더욱 많은 공헌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물생장조절제는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수확시기를 조절함으로써 농산물을 연중 보급할 수 있게 해 가격을 조정하 는 효과가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