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166

[추부깻잎] 들깨의 유래와 분류 [추부깻잎] 들깨의 유래와 분류 ● 들깨는 꿀풀과(Laviatae)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동부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인도, 한국 및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재배하여온 기름작물임 ● 들깨는 주로 들기름으로 가공되거나 들깨가루로 이용되는 종실 들깨와 상추와 함께 대표적인 신선 잎채소용으로 이용되는 잎들깨로 분류할 수 있음 잎들깨 산업 및 주요 통계 ● 잎들깨는 시설하우스와 노지에서 주년 생산되고 있으며, 전국 재배면적은 1,149ha으로 시설하우스 838ha, 노지재배가 311ha임(2021년 기준) ● 주산지는 금산군을 중심으로 한 충남과 밀양시를 중심으로 한 경남이 전체 재배면적의 68%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생산량은 38.5 ~ 42.4천톤 수준으로 등락을 보이나, 생산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2023. 12. 12.
친환경청년농부의 방향성 친환경청년농부의 방향성 “ 친환견농업을 활용한 탄소중립 & 스마트하우스를 통한 스마트 금산 ” 1. 친환경농업의 목적 및 필요성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 보도자료 참고 ◇ 탄소중립 시나리오 (농업분야) ○ 농축수산 부문에서는 화학비료 저감, 영농법 개선, 저탄소‧무탄소 어선 보급 등을 통해 농경지와 수산업 현장에서의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고, 가축 분뇨 자원순환 등을 통해 저탄소 가축 관리를 해야 한다는한다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농축수산 부문에서는 논물 관리방식 개선, 비료사용 저감, 저메탄저 메탄사료 공급 확대, 가축분뇨 질소저감 등을 통해 ‘18년 24.7백만톤에서 ’30’ 30년 18.0백만톤으로 27.1% 감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2023. 12. 11.
[딸기] 유통 현황 [딸기] 유통 현황 유통경로 및 형태 딸기의 유통경로를 보면 도매상을 통해 출하되는 것과 생산농가가 직접 대형 유통업체로 출하하는 경로 나뉜다. 도매상을 통해 출하하는 비중이 6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도매상을 통해 소매상과 대형 유통업체 등으로 분산되는 것이 주된 유통경로이다. 과거에 비해 대형 유통업체로 직접 출하되는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도시가 인접하여 유동 인구가 많은 딸기 재배지역의 경우에는 직판 및 체험 형태로 직거래되는 비율이 높다. 딸기 포장 규격은 지역별, 시기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출하 초기에는 딸기 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PVC 투명 용기(500g 또는 750g)에 소포장한 후 골판지 상자에 넣어 출하하고 있다. 수확량이 증가하는 3월 이후나 대형.. 2021. 1. 20.
겨울에 인기 작목 " 딸기" - 재배동향 겨울에 인기 작목인 - 딸기 ◆. 국내 생산 동향 딸기는 재배 기간이 길고 노동력이 많이 드는 작물이지만 저온에서도 생육이 양호하여 겨울철 재배 기간 동안 난방비가 거의 들지 않고 수확과 선별에 드는 노동력을 제외하면 경영비가 비교적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2012년을 기준으로 딸기는 국내 생산액이 11,888억 원에 이르고 우리나라 전체 채 소 생산액(101,537억 원)의 11.7%를 차지하는 중요한 원예 작물로서 농가의 중요 한 소득원이다. 해외 딸기 수출도 홍콩, 싱가포르, 일본 등을 중심으로 24,270천 달러(2012년)를 달성하여 농산물 수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딸기는 육묘나 수확, 선별에 들어가는 악성 노동과 농업 인력의 노령화 및 감소 등 으로 재배 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2021. 1. 14.
[토양학] 귀농시 토지을 고르는방법?? [토양학] 토양분류 Soil Taxonomy 분류체계 토양의 제반 특성과 토양 간의 상호관련성 즉, 공통성과 상이성을 비교 검토하여 체계적으로 이용하고, 또 이들 토양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각 토양을 공통군별로 분류 정리하는 것을 토양분류(Soil Classification)라고 한다. 토양분류를 최초로 시도한 사람은 러시아의 Dokuchaev로서, 그는 1880년 기후, 식생, 모재 및 토양의 여러 특성들과의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토양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자연체로 보는 개념을 정립시켰다. 미국의 Marbut는 토양분류에 있어서 토양단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연체로 보는 개념의 토대 위에서 1936년 새로운 분류안을 발표하였다. 미국 농무성의 Thorp와 Kellogg는.. 2020. 12. 11.
[푸드플랜] 완주군은 왜 로컬푸드를 선택했나? [푸드플랜] 완주군은 왜 로컬푸드를 선택했나? 지역, 접근법에 따라 결과도 달라진다 지역경영의 가치와 철학 첫째 ‘종합적인 지역 공동체 경영의 관점’ 지역을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고, 우리가 가진 인적․물적․환경적․역사적 자원을 어떻게 공동체의 이익을 높일 수 있도록 조화롭게 엮어낼 것인가의 문제 둘째 ‘새로운 가치 창출의 관점’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핵심테마’는 무엇? 그간 지역정체성을 ‘특산품’이나 ‘자연자원’에서 찾음 발상을 전환, 지역이 지향하는 ‘가치’를 전면에 내세우는 전략 셋째 ’지역주민을 지역 활성화 사업의 주체로 세우는 관점‘ 기획자도, 추진 주체도, 그 열매의 향유자도 지역 자신일 때 ’지방자치‘와 ’지역활력화‘는 질적으로 발전, 지속가능성 담보 가능 전북 완주군은? 전라북도 유.. 2020. 12. 9.